
주체112(2023)년 1월 22일 《보도》
설명절이 전하는 이야기
오늘은 설명절이다.
우리 인민이 해마다 즐겁게 쇠고있는 설명절, 이 민속명절에도 얼마나 가슴뜨거운 사연이 깃들어있던가.
주체78(1989)년 1월 어느날이였다.
이날 일군들과 자리를 같이하시고 이야기를 나누시던
누구에게라없이 제기하신 그 물으심에 일군들은 선뜻 대답을 올리지 못하였다.
그도 그럴것이 음력설을 이미 사라진지 오랜 옛 풍습상의 명절로 알고있은데다가 쇠본지도 오래되였기때문이였다.
잠시 일군들을 둘러보시던
그러시면서 우리가 음력설을 쇠지 않으면 앞으로도 후대들이 음력설이 어떤것인지 알지 못하게 될수 있다고, 해당 부문에서 앞으로 음력설을 어떻게 쇠게 하겠는가 하는것을 연구해보도록 하여야 하겠다고 가르치시였다.
위대한
주체86(1997)년 2월 어느날
위대한
우리 인민의 전통으로 보나 설명절을 쇠여온 력사를 놓고보나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진짜 설명절은 양력설이 아니라 음력설이라는것을 알수 있다. 그래서 주체성과 민족성을 고수하고 적극 살려나가는 의미에서 몇해전부터 음력 1월 1일을 설명절로 크게 쇠도록 하였다. 옛날부터 절기를 써왔지만 절기앞에 음력이라는 말은 붙이지 않는다. 설명절을 일부러 음력설이라고 부를 필요가 없다. 음력설이라고 하는것보다 그냥 설명절이라고 하는것이 더 정확하다. …
이렇듯 우리 민족이 창조한 우수한 전통을 귀중히 여기시며 그것을 끝없이 빛내여나가시려는